Skip to content

2015.08.25 15:17

말러 2 번 부활

댓글 0조회 수 501

Elisabeth Schwarzkopf soprano/Sopran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 소프라노
Hilde Rössl-Majdan mezzo-soprano/Mezzosopran
힐데 뢰슬-마이단 메조소프라노

Philharmonia Chorus
(Chorus Master/Chorleitung/Chef des chœurs: Wilhelm Pitz)
Philharmonia Orchestra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 합창단
conducted by/Dirigent/direction
Otto Klemperer
오토 클렘페러 지휘


클렘페러가 지휘하는 말러

말러의 교향곡 2번, 3번, 4번은 하나 이상의 성악 악장을 포함하면서 전통적인 교향곡 양식을 무너뜨렸다.


이 거대한 3부작은 공통적인 의의와 – 궁극적인 종교적인 신앙의 추구 – 공통적인 영감의 원천을 – 1808년 ‘어린이의 요술 뿔피리’라는 제목으로 출판된


독일 민요집 – 바탕으로 한다. 말러는 1888년부터 1894년 여름까지 교향곡 2번의 작곡에 몰두했다.


작곡을 완성하는 데 촉매가 된 것은 1894년 3월에 있었던 지휘자이자 피아니스트인 한스 폰 뷜로의 장례식이었다.


폰 뷜로는 작곡가로서의 말러에게는 비판적이었지만 지휘자로서의 자질은 매우 높이 샀다. 폰 뷜로가 죽었을 무렵 말러는 첫 세 악장을 마친 상태였다.


그러나 이 지휘자의 장례식에서 클로프슈토크의 찬가 <부활>의 가사를 듣고는 교향곡을 마칠 적합한 방법을 찾게 되었다.


그때까지는 죽음과 삶의 무상함에 집착하고 있던 차였다. 석 달 뒤 작품이 완성되었다. 말러는 1894년 12월 베를린에서 초연을 지휘했다.
말러는 교향곡을 위해 두 개의 ‘프로그램’을 내놓았고, 뒤 이은 설명에서 이는 합쳐진다. 첫 악장은 거대한 장송 행진곡이며 느슨한 소나타 형식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발전부의 전개가 지속된다. 말러는 이렇게 썼다.

“나는 이 악장을 ‘장례식’이라고 불렀다. 무덤에 묻은 것은 첫 교향곡의 영웅이다. 나는 맑은 거울로 그의 삶을 돌아본다.


여기서 또한 중요한 질문이 나온다. ‘무엇 때문에 사는가?’ 2악장과 3악장은 간주곡으로 생각한 곡이다. 2악장은 추억이다.


이는 영웅의 생애로부터 뻗어 나온 한 줄기 태양빛과 같다. 그러나 이 아득한 꿈에서 깨어나면 삶은 의미 없고,


역겨움에 물러나게 만드는 소름끼치는 유령과 같다.”






2악장은 목가적인 렌틀러 양식으로 두 개의 부분이 번갈아 다양하게 교차한다(지속적인 변주의 확대/첫 악장의 발전부).


이어서 론도와 같은 스케르초가 나온다. 이는 <뿔피리> 가곡인 ‘물고기에게 설교하는 파도바의 성 안토니우스’를 기악으로 확대한 편곡이다.


 이 곡에서 안토니우스 성인은 교회가 텅 빈 것을 발견하고 강으로 나가 고기들에게 설교를 한다. 고기들은 그의 말을 경청하지만 이내 헤엄쳐 흩어진 뒤로는


설교 이전의 모습으로 돌아간다. 곡이 끝나기 직전에 소란스러운 폭발과 엄청난 불협화음이 들린다.


4악장에 대해 말러는 이렇게 말한다. “소박한 신앙의 목소리가 우리 귀에 도달한다.” 여기서는 메조소프라노 독창이 <뿔피리> 시 가운데 ‘태초의 빛’을 노래한다.


 이어 곧바로 피날레 악장이 나온다. 최후의 심판이 가까이 있다. 땅이 진동하고 무덤이 열리며 죽은 자들이 일어나 끝없이 행진한다.


종말의 나팔 소리가 울린다. 성인들과 천국의 사람들이 부르는 합창이 부드럽게 뻗어 나온다. “일어나라!”




이 거대한 악장의 첫 부분(순수 기악)은 3악장과 1악장의 소재들을 다시 끌어들인다. 그 사이로 종말의 팡파르(무대 위와 뒤에 위치한)가 끼어든다.


거대한 클라이맥스가 소동을 잠재운다. 마지막 나팔이 울리고 그 메아리가 잠잠해지면 새 소리가 들린다. 합창이 클로프슈토크의 ‘부활’을 부르며 들어오고


오케스트라는 의기양양하게 총주한다. 메조소프라노는 ‘태초의 빛’의 호소(‘나는 하느님으로부터 왔으니 하느님께로 돌아가리라!’)를 되울리고


두 독창자가 합창에 힘을 보탠다. 여기서 말러 자신이 쓴 가사가 클로프슈토크의 시에 덧붙여진다. 그 위로 음악은 무아지경의 결말로 고요히 올라간다.



오토 클렘페러는 1905년 베를린에서 말러를 처음 만났다. 그곳에서 있었던 교향곡 2번의 연주에서 지휘자 오스카르 프리트는 스무 살 난 클렘페러에게


무대 뒤 악단을 지휘하게 했다. 말러는 마지막 리허설에 참석했고 리허설 뒤에 클렘페러는 작곡가에게 괜찮았는지 물었다. 말러는 이렇게 대답했다.


 “아니, 끔찍했네. 너무 컸어. 뒤에서 아주 작게 들려야 해.” 일단 이런 문제가 지적되자 공연은 잘 진행되었고 말러는 대기실로 와 클렘페러와 악수하며 말했다.


“아주 좋았어.” 클렘페러는 뒤에 이 말이 무척 자랑스러웠다고 말했다. 클렘페러는 첫 두 취업(1907년 프라하의 오페라 지휘와 1910-12년 함부르크의


오페라 지휘)을 말러에게 빚졌다.


동년배인 브루노 발터와 같이 클렘페러도 말러의 권위자였지만, 두 지휘자는 작곡가의 음악을 다르게 해석했다.


1961년에 방송된 BBC 인터뷰에서 클렘페러는 이렇게 말했다. “브루노 발터는 매우 훌륭한 지휘자지만, 도덕군잡니다. 나는 부도덕한 사람입니다.”


그리고 클렘페러는 교향곡 작곡가 말러에 비판적이었다. 그는 교향곡 3번과 5번에 관심을 두지 않았고 (공연도 하지 않았다) 1번도 단지 1번 지휘했다.


그리고 6번에도 손대지 않았다. 9번은 좋아했지만 피터 헤이워스와 클렘페러의 대화에 따르면(Gollancz, 1973), “<부활 교향곡>보다


클렘페러의 마음에 가까운 음악은 없다.” 그는 이곡의 악보를 1907년에 피아노를 위해 축소했고 1919년 쾰른 시립 오케스트라와 공연을 시작으로


숱하게 연주했다.
그의 EMI녹음은 런던에서 1961년과 1962년에 제작되었는데 화강암과 같은 힘을 지녔다(중심 악장에서 브루노 발터와 같은 감상은 없다).


월터 레그의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는 정점에 있었고, 탁월한 두 독창자는 클렘페러의 예전 녹음(1951년 복스)에서 ‘태초의 빛’을 불렀던


힐데 뢰슬-마이단과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였다. 빌헬름 피츠의 유명한 합창단도 제몫을 했다. 녹음 상태도 실연과 같고 특히 중요한 무대 뒤 효과도 적절하다


.

?

  1. Witold lutoslawski

    Date2015.08.28 Byyhjmac Reply0 Views254
    Read More
  2. 말러 2 번 부활

    Date2015.08.25 Byyhjmac Reply0 Views501
    Read More
  3.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6 번

    Date2015.08.19 Byyhjmac Reply0 Views199 file
    Read More
  4. 클래식 FM 청취자 선호도 조사

    Date2015.03.03 Byyhjmac Reply0 Views338
    Read More
  5. 보스톤 시리즈 배경음악

    Date2012.09.05 Byyhjmac Reply1 Views371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Next ›
/ 1
Designed by hikaru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스케치북5

SketchBook5,스케치북5

SketchBook5,스케치북5

SketchBook5,스케치북5

Copyright ⓒ 2012 by YJH Photo. all pictures can'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yjhmac@gmail.com